Zeekit 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사진을 업로드한후 고객에게 어떤 종류의 옷을 원하는지를 질문한후 자동으로 고객의 신체사진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맞는 옷을 검색해 추천해준다. 옷 추천은 100개의 Top브랜드 제품의 5만개가 넘는 다양한 스타일의 옷을 검색하여 추천해준다. 검색 및 추천뿐만아니라 추천된 옷을 자신의 사진에 대입시켜 옷을 입어 볼 수 있다.
미국 백화점 Target은 쇼퍼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내 데이터매니지먼트플랫폼(DMP)를 개발하고 디맨드사이드의 벤더(DSP)들과 직접 연결하고 있다.최근에 회사는 동일한 형태의 프로그래매틱방식의 광고를 운용하고자 하는 공급업체 브랜드에 전용 마켓플레이스(PMP)를 제공하고 있다.
아마존은 사업추진을 위해 미니애폴리스에 사무실을 개설하여 화물수송 물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항구에서 컨테이너화물을 배포센터에서 수송하기 때문에 창고에서 물류센터등을 이용하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배송할 수 있다.
이러한 추진은 배송프로세스에서 '미들마일(Middle mile)' 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5개의 추천아이템이 전시되어 있으며 고객이 제품에 손을 대면 디스플레이에 다이아몬드가 나타나 빛나며 제품의 주위를 맴도는등 다양한 효과가 나타난다. 'Get Styled' , 'Did You Know?' , 'Spotted On' 의 3개 버튼으로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1010data의 조사에 따르면 Amazon의 프라이빗브랜드(PB) 상품은 2015년 9월 ~2016년 8월 기간동안 배터리, 스피커, 유아용 티슈 의 점유율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10data의 보고서에 따르면 Amazon이 고객들이 쇼핑할때 처음으로 선택하는 사이트로서의 잇점으로 나타난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